2017년에 개봉한 영화 《1987》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뜨거웠던 순간 중 하나인 ‘6월 민주항쟁’을 배경으로 한다. 영화는 단순한 역사 재현에 그치지 않고, 정의와 진실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들의 용기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는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었으며, 그 과정에는 수많은 이름 없는 이들의 희생과 선택이 있었다는 것을 일깨운다.
영화의 시작, 한 청년의 죽음
1987년 1월,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사망한다.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황당한 해명을 내놓았지만, 이 죽음이 단순한 사건으로 묻히지 않도록 한 언론인, 검사, 의사, 교도관 등 정의의 끈을 놓지 않으려 한 사람들의 노력이 시작된다.
이야기는 여러 인물의 시점을 오가며 전개된다. 영화는 누구 한 사람의 영웅서사가 아니다. 오히려 작은 선택들이 모여 거대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보여준다. 기자는 보도를 포기하지 않고, 교도관은 진실을 은폐하지 않으며, 검사는 상부의 지시를 거부한다. 그들은 모두 '그냥 자기 일을 한 것뿐'이라고 말하지만, 그 행동 하나하나가 결국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바꿔놓았다.
1987년이라는 해가 갖는 의미
1987년은 한국 사회에서 민주주의가 제도화되기 시작한 해이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촉발된 분노는 마침내 거리로 터져 나왔고, 6월 항쟁으로 이어졌다. 100만 명이 넘는 시민이 서울 시내를 가득 메웠고, 결국 당시 정부는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 승리는 어느 한 사람의 것이 아닌, 시민 모두가 함께 이룬 변화였다.
그 해 여름, 수많은 대학생과 시민들이 눈물과 숨결로 외쳤던 “호헌 철폐, 독재 타도”라는 구호는 단순한 정치 슬로건이 아니었다. 그것은 인간으로서, 국민으로서,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이들이 외친 생존의 목소리였다.
《1987》이 전하는 시대의 메시지
영화는 당시의 시대적 긴장감을 세밀하게 재현한다. 무거운 주제를 다루지만, 지나치게 감정에 기대지 않는다. 오히려 담담한 연출 속에서 관객은 더 큰 감동과 분노를 느낀다. 누군가는 진실을 밝히기 위해 신념을 지키고, 누군가는 두려움을 딛고 거리로 나온다.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그것이 단지 과거 이야기에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관객에게 조용히 던진다. 과거를 되짚는 것은 단지 역사를 배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앞으로 어떤 세상을 만들어갈지 고민하기 위한 행위이기도 하다.
정의는 어떻게 시대를 바꾸는가
영화 속 인물들은 거창한 이상을 외치지 않는다. 다만 ‘해야 할 일을 한다.’는 신념을 가진다. 기자는 진실을 보도하고, 의사는 사망 원인을 숨기지 않으며, 한 학생은 거리로 나선다. 그 작은 용기들이 쌓여, 거대한 독재 권력을 무너뜨리는 힘이 된다.
정의는 거창한 것이 아니다. 누군가에게는 입 다물지 않는 것, 누군가에게는 침묵을 깨는 것이 정의다. 영화 <1987>은 그 점을 잊지 않게 만든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도, 여전히 부조리한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 그때마다 이 영화를 떠올릴 수 있다면, 우리는 이미 그 시대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나에게 남은 질문
영화를 본 후, 가장 오래 마음에 남은 장면은 끝에 등장하는 대학생 연희가 거리로 나서는 모습이다. 처음엔 아무것도 몰랐던 평범한 사람이, 진실을 마주하면서 자신만의 선택을 하게 되는 그 과정은 오늘의 나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과거의 그들이 없었다면,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권리는 없었을 것이다.
이제는 그 정신을 이어받을 차례다. 우리는 지금 어떤 불의에 침묵하고 있는가? 어떤 진실을 외면하고 있는가? 영화 <1987>은 단순한 과거의 기억이 아니라, 끊임없이 현재를 자극하는 질문 그 자체다.
결론: 과거는 끝나지 않았다
1987년은 끝난 연도가 아니다. 그것은 계속 이어지는 시간이다. 영화 <1987>은 우리에게 역사는 기록되지만, 정신은 살아 숨 쉰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리고 언젠가, 또 다른 진실 앞에 우리가 서게 될 때, 주저하지 않고 그 정신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라게 한다.
정의는 거창한 말이 아니라, 행동이다. 그리고 그 행동은 시대를 바꾼다. 바로 우리가 그 시대의 주인공일 수 있다는 것을, 영화 <1987>은 조용히 속삭인다.